신규입사자 4대보험 취득신고 방법 (건강보험 EDI로 간편하게 취득신고하기)
안녕하세요, 구슬별입니다.
신규 입사자가 발생할 때 필수적이면서 기본적인 업무 중의 하나는 바로 4대보험(4대 사회보험) 취득신고입니다.
기업(회사)에 따라 세무소, 회계팀, 인사팀 등 4대보험 신고를 담당하는 주체가 상이하여 이것이 인사 업무라고 한정지을 순 없습니다.
그러나 기업(회사)의 전체적인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인사담당자라면 4대보험에 대해서 진행하는 경우가 많기에 해당 주제에 대해서도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4대보험이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일컫는 말로, 국가가 보험제를 활용하여 법에 의한 강제성을 띄고 시행하는 보험조도의 총칭입니다.
▶국민연금 : 가입자가 퇴직 등으로 소득을 잃은 경우 일정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
▶건강보험 : 국민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사회보장제도
▶고용보험 :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 생활안정을 위해 지급하는 실업급여사업과 고용안정사업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등의 실시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장제도
▶산재보험 : 산업재해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국가가 근로자에게 보험료를 징수한 재원으로 산재근로자에게 보상하는 제도
4대보험 신고기한은 보험 별로 상이합니다.
우선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은 발생일(입사일)로부터 익월 15일까지 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월 1일에 입사한 대상자가 있다면 2월 15일까지 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건강보험은 발생일(입사일)로부터 14일이내 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1월 1일에 입사한 대상자가 있다면 1월 15일까지 신고가 완료되어야 합니다.
사실 보험에 따라 신고기한이 상이하긴 하지만, 관리의 편의를 위해서 건강보험 신고기한에 맞춰 4대보험을 한꺼번에 신고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럼 바로 신규입사자의 4대보험 취득신고 방법에 대하여 시작하겠습니다.

1. 국민건강보험 EDI 홈페이지 접속
국민건강보험 EDI에서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한번에 취득신고하고자 합니다. 국민건강보험 EDI 홈페이지이지만 4대보험 모두를 신고할 수 있답니다.
이를 위해 먼저 국민건강보험 EDI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국민건강보험 EDI
edi.nhis.or.kr
2. 사업장 공인인증서 로그인
입사자 취득신고가 필요한 사업장의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진행해줍니다.
만약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면 간단하게 '사업장 회원가입'을 먼저 진행하시고 로그인 해주시면 됩니다.

3. 신고서식 바로가기 → 자격취득 신고
'신고서식 바로가기'를 클릭하면 각종 신고탭이 아래로 내려오는데, 여기서 가장 첫번째 위치한 '자격취득 신고'를 클릭해줍니다.

4. 직장가입자 자격 취득 신고서 내용 작성
4대보험 취득신고를 하고자 하는 대상의 정보를 기입해줍니다. 작성방법은 이미지 하단 설명을 참고 바랍니다.

① 기본정보 입력
: 신청구분 :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중 신고하고자 하는 보험을 클릭합니다. 보통 일반 직원의 경우 4대보험을 모두 신고하는게 보편적이긴 하나,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면 관할지사 또는 4대보험 상담전화로 문의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성명 : 신고하고자 하는 신규입사자의 성명을 기입해줍니다.
: 주민등록번호 : 신고하고자 하는 신규입사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줍니다.
: 국적 및 체류자격 : 외국인 신고시에만 기입해줍니다.
: 대표자여부 : 신고하고자 하는 대상이 대표자인지 아닌지를 선택해줍니다.
② 국민연금
: 소득월액(원)은 비과세 항목(식대, 자차운행비)을 제외한 월 급여를 입력해줍니다. 만약 비과세 항목을 제외한 연봉이 30,000,000원이라면 소득월액은 12월로 나눈 2,500,000원입니다.
: 취득일은 입사일(실제 근무 시작일)을 입력합니다.
: 취득부호는 입력란을 클릭하여 조회되는 여러 항목 중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부호를 선택해줍니다. 보통 일반적인 입사라면 '18세 이상 당연 취득'입니다.
: 취득월납부여부는 입사한 첫 달의 보험료를 부과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으로, 취득일(입사일)이 '1일'인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희망' 선택되며, 취득일(입사일)이 '1일이 아닌' 경우에는 자유로이 선택 가능합니다.
③ 건강보험
: 보수월액(원)은 국민연금 소득월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입력되며, 동일한 금액인지 확인해줍니다(비과세 항목을 제외한 월 급여).
: 취득일은 국민연금 취득일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입력되며, 동일한 날짜인지 확인해줍니다.
: 취득부호는 입력란을 클릭하여 조회되는 여러 항목 중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부호를 선택해줍니다. 보통 신규입사의 경우는 '00 최초취득', 이직의 경우는 '05 직장가입자상실'을 많이 선택합니다. 그런데 사실 어느 것을 선택하던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들은 합니다.
: 피부양자신청은 피부양자 여부에 따라 선택하고, 만약 등록이 필요하다면 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등의 서류를 첨부해줍니다. 만약 피부양자 등록 여부가 당장 확인되지 않는다면 일단 취득신고를 먼저 진행하고, 나중에 피부양자 등록 신고를 따로 진행해도 됩니다.
④ 고용보험
: 월평균보수(원)은 국민연금의 소득월액과 건강보험 보수월액과 동일한 금액인지 확인해줍니다(비과세 항목을 제외한 월 급여).
: 취득일은 국민연금과 건강보험과 동일한 날짜인지 확인해줍니다.
: 1주 소정근로시간은 1주 간의 근로시간을 기재해줍니다. 현재 법정근로시간은 주 40시간입니다.
: 직종부호는 입사자(대상자)의 직종에 해당하는 번호를 검색 및 선택해주면 됩니다.
: 계약직 여부는 입사자(대상자)가 계약직인지에 대한 여부를 체크하는 란입니다.
: 계약종료월은 만약 입사자(대상자)가 계약직이라면 언제 계약이 종료되는지를 체크하는 란입니다.
: 보험료 부과구분(해당자)의 부호를 보시고 해당할 경우에만 선택하면 됩니다.
: 일자리안정자금신청도 해당하는 경우에만 체크하면 되며, 지원요건(클릭) 참고 바랍니다.
⑤ 산재보험
: 월평균보수액(원)은 국민연금의 소득월액과 건강보험 보수월액, 산재보험의 월평균보수액과 동일한 금액인지 확인해줍니다(비과세 항목을 제외한 월 급여).
: 취득일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과 동일한 날짜인지 확인해줍니다.
: 1주 소정근로시간은 고용보험과 마찬가지로 1주 간의 근로시간을 기재해줍니다. 현재 법정근로시간은 주 40시간입니다.
: 직종부호는 역시 고용보험과 동일한 직종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 계약직 여부도 고용보험에서 선택한 내용과 동일합니다.
: 계약종료월도 고용보험에서 선택한 내용과 동일합니다.
: 보험료 부과구분(해당자)도 부호를 보시고 해당하는 경우에만 선택하면 되며, 예를들어 대학 현장실습생 신고를 할때 선택하곤 합니다.
5. 대상자 등록 → 신고(전송)
취득 신고서 내용을 모두 작성 완료했다면 하단의 '대상자 등록'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넣어주시고, 넣은 데이터를 검토한 후에 '신고(전송)'을 클릭합니다.
이로써 4대보험 취득신고가 완료되었습니다.

신고가 정상적으로 승인되었는지는 EDI 홈페이지의 '보낸문서'에서 확인 가능하고, 보통 3일 이내(웬만해선 1~2일) 승인 또는 반려 처리가 완료됩니다.
------------------------------------------------------------------------------------------------------------------------------------------------------
※ 참고(문의전화)
▶국민연금공단◀
- 대표번호 : 1355
- 관할지사 : https://www.nps.or.kr/jsppage/hqCenter/hq/jisa1.jsp?areaCd=111B&jisaCd=1118 에서 검색
▶건강보험공단◀
- 대표번호 : 1577-1000
- 관할지사 : https://www.nhis.or.kr/menu/retriveMenuSet.xx?menuId=G4000 에서 검색
▶근로복지공단(고용/산재보험)◀
- 대표번호 : 고용보험(1350), 산재보험(1588-0075)
- 관할지사 : https://www.ei.go.kr/ei/eih/cp/cc/ccJobCenSearch/retrieveKlwcJobCenSearchMap.do 에서 검색
------------------------------------------------------------------------------------------------------------------------------------------------------
여기까지 EDI로 편하게 4대보험(4대 사회보험) 취득신고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모두들 쉽고 빠르게 취득신고 하세요. 감사합니다.
■참고) 4대보험 상실신고 방법
4대보험 상실신고하기(EDI로 간편하게 신고)
4대보험 상실 신고하기 (국민건강보험 EDI로 4대보험 모두 신고하자) 안녕하세요, 구슬별입니다. 입사자가 발생하면 4대보험 취득신고를, 퇴사자가 발생하면 4대보험 상실신고를 진행해주어야 합
gooseulbyul.tistory.com
'인사(HR)팀 > 인사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장업무] 4대보험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신고방법 (건강보험 EDI) (0) | 2020.08.11 |
---|---|
회사별 신입사원에게 주는 웰컴키트 '기업 아이덴티티를 담다' (0) | 2020.08.10 |
계약직 수습기간 가능여부 및 수습기간 해고에 대해서 (0) | 2020.08.09 |
[인사 담당자] 무료 노무상담 / 코참경영상담, 사람인HR법률상담 (2) | 2020.08.06 |
4대보험 상실신고하기(EDI로 간편하게 신고) (0) | 2020.08.01 |
취업규칙신고(변경신고) 준비서류 및 신고방법 (0) | 2020.07.29 |
8월 17일 임시공휴일 확정, 연차에서 차감해도 되나요? (0) | 202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