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대보험] 계열사 이동(관계사, 그룹사이동) 4대보험 상실신고코드
안녕하세요, 구슬별입니다.
많은 기업에서 모회사, 자회사, 계열사, 관계사, 그룹사 등을 두면서 전입, 전출과 같이 직원들의 순환이 잦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인사담당자들이 챙겨야 할 사항들이 많은데 그 중 가장 기본이 되는 4대보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안내드리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근로자 홍길동씨가 A라는 기업에서 B라는 기업으로 계열사 이동을 한다고 했을 때를 가정해 봅니다.
우선 B 기업에서는 일반 근로자가 입사했을 때와 동일하게 별다른 특이사항없이 4대보험 취득신고를 하면 됩니다.
여기서 유의해야 하는 부분은 A 기업의 4대보험 상실처리 방법입니다.
※ 아래의 내용은 직접 공단에 문의 후 확인한 사항임을 알려드립니다.
국민연금 상실코드(계열사 이동)
: 03 사용관계종료
국민연금은 계열사 이동을 표현하는 상실부호가 없습니다.
그래서 '03 사용관계종료'로 일반 퇴직과 동일하게 처리하면 됩니다.
건강보험 상실코드(계열사 이동)
: 01 퇴직
건강보험도 마찬가지로 계열사 이동을 표현하는 상실부호가 없습니다.
일반 퇴직과 동일하게 '01 퇴직'으로 처리하면 됩니다.
★ 고용보험 상실코드(계열사 이동)
: 23 - 04
가장 중요한 고용보험 상실코드입니다.
계열사 이동을 했을 경우 고용보험 상실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23) 경영상 필요 및 회사불황으로 인한 인원감축 등에 따른 퇴사(해고,권고사직,명예퇴직 포함)
➡️ 04) 사업, 부서가 폐지되어 신설된 법인으로 이직한 경우
자칫 해당 코드의 문장만 보면 '우리 회사는 인원감축을 한 게 아닌데? 사업, 부서가 폐지된게 아닌데? 신설된 법인이 아닌데?' 와 같은 의문이 생길 수도 있을텐데요.
공단에서 관리하는 매뉴얼 표에 따르면 계열사 이동, 그룹사 이동, 관계사 이동은 23-04 코드로 신고하게끔 정리가 되어 있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해 드렸기를 바라며, 아무래도 각 사업장 별로 내용이 천차만별이기에 예외적인 상황이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애매하다 싶은 부분이 있다면 반드시 관할지사에 문의 후 진행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인사(HR)팀 > 인사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지원금] 계열사이동에 따른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0) | 2024.09.19 |
---|---|
[4대보험] 고용보험 상실코드, 상실사유 총 정리 (0) | 2020.09.01 |
[4대보험] 사업장 가입제외 신고(근로자가 없고 무보수 대표자만 있는 사업장)_양식,샘플 (0) | 2020.08.19 |
외국인 F4비자 4대보험 취득신고 하는법 (양식 및 예시 첨부) (0) | 2020.08.12 |
[사업장업무] 4대보험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신고방법 (건강보험 EDI) (0) | 2020.08.11 |
회사별 신입사원에게 주는 웰컴키트 '기업 아이덴티티를 담다' (0) | 2020.08.10 |
계약직 수습기간 가능여부 및 수습기간 해고에 대해서 (0) | 2020.08.09 |